본문 바로가기
발달심리학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 실험 방법, 원인 설명 모델

by 스카이댄서 2024. 4. 20.

인간은 종종 자신의 능력과 지식을 평가하는 데서 오는 심리적인 함정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 중 하나가 바로 "더닝-크루거 효과"입니다. 이 효과는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더닝-크루거 효과(썸네일)

 

이 글에서는 더닝-크루거 효과의 개념과 실험방법, 원인을 설명하는 모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더닝-크루거 효과

    더닝-크루거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포
    더닝-크루거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출처: 위키피디아)

    더닝-크루거 효과는 1999년에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에 의해 처음 제안된 개념입니다. 이 효과는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설명합니다. 다시 말해, 어떤 분야에서의 능력이 낮은 사람들이 종종 자신을 능숙한 것으로 오인하고, 이에 따라 자신의 실력을 지나치게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위 그래프는 자기 인식 성적과 대학 시험 실제 성적과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빨간색 부분이 성과가 낮은 학생 또는 직원이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성과가 낮은 사람의 자기 평가는 성과가 높은 사람에 비해 낮습니다.

    실험 방법과 결과

    더닝과 크루거는 이러한 효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그들은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독해력, 운전 능력, 체스 실력 등을 테스트하여 이러한 경향을 확인했습니다.

    더닝-크루거 효과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몇 가지 중요한 패턴을 보여주었습니다. 

     

    첫째로, 실험 대상자들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능력을 지나치게 높게 평가하며, 자신이 실제로보다 더 뛰어나다고 착각했습니다.

     

    둘째로, 실험 대상자들은 다른 사람의 진정한 능력을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동안에도 다른 사람의 능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실험 대상자들은 자신의 능력 부족으로 인해 생긴 곤경을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훈련을 통해 능력이 좋아진 후에야 자신의 부족함을 깨닫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이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지 못하고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능력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자신의 능력 보다 자신을 더 낮게 평가하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크루거와 더닝은 이러한 현상을 분석해보니, "능력이 없는 사람의 착오는 자신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지만, 능력이 있는 사람의 착오는 다른 사람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다"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즉, 능력이 있는 사람의 과소평가의 원인은 자신의 기술에 대한 자기 평가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기술에 대한 지나치게 긍정적인 평가에서 기인한다고 봤습니다.

     

    데이비드 더닝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자신의 무지의 범위를 알지 못하는 것은 인간 조건의 일부입니다. 문제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서는 그것을 볼 수 있지만 우리 자신에게서는 그것을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더닝-크루거 클럽의 첫 번째 규칙은 자신이 더닝-크루거 클럽의 회원인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더닝-크루거 효과의 원인을 설명하는 모델

    메타인지 모델 

    가장 잘 알려진 이 모델은 낮은 성과자들이 자신의 부족한 능력을 식별할 수 없는 메타인지 능력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설명합니다. 즉,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을 지나치게 능숙하게 평가합니다. 이는 자신의 능력과 다른 사람의 능력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메타인지 프로세스에 결여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이를 '이중 부담 계정(dual-burden account)'이라고 표현합니다.

    통계적 모델

    이는 통계적인 특성에 기인한 결과로 설명합니다. 이 모델은 주로 '평균으로의 회귀'라는 통계적 현상을 바탕으로 설명됩니다. 이는 두 변수가 완벽하게 상관되어 있지 않을 때 한 변수가 극단적인 값을 가질 경우 다른 변수는 상대적으로 극단적인 값을 보이지 않을 경향이 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더닝-크루거 효과의 경우, 실제 성과와 자가평가 성과를 비교할 때 이러한 효과가 나타납니다. 즉, 능력이 낮은 사람일수록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평균 이상 효과 모델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평균 이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평균 IQ가 100이라고 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IQ를 100보다 높게 평가합니다. 이 모델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부분적으로는 자기 보호적인 목적으로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합리적 모델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것이 인지적인 오류가 아니라 합리적인 선택의 결과라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분야에서의 경험이 적은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을 올바르게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능력을 높게 평가함으로써 자신감을 유지하려는 합리적인 욕구로 해석됩니다.

    기술 수준 분포 모델

    능력이 비슷한 사람들이 특정 분야에서 매우 밀집되어 있는 경우에 더닝-크루거 효과가 더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즉, 능력이 유사한 사람들이 함께 묶여 있을 때, 자신의 능력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과대평가의 경향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모델들은 더닝-크루거 효과를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각각의 이론은 특정 상황이나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해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이론이든 간에, 이러한 모델들은 우리가 자기 평가의 함정에 빠지는 이유를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023.10.22 - [발달심리학] - 미리엄 보웬의 자아분화 이론 알아보기

     

    미리엄 보웬의 자아분화 이론 알아보기

    미리엄 보웬의 자아분화 이론은 가족 시스템과 개인의 성장과 관계를 탐구하는 핵심 이론 중 하나입니다. 이 이론은 가족 내에서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자아분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skydancer.tistory.com

    2023.09.08 - [발달심리학] - 하워드 가드너의 EBS 위대한 수업, 다중지능이론

     

    하워드 가드너의 EBS 위대한 수업, 다중지능이론

    하워드 가드너에 대해 한 번쯤 들어 보신 적 있으실 것 같습니다. 바로 다중지능이론으로 잘 알려진 학자로 인간의 지능은 한 가지가 아닌 9~10가지로 되어있다고 규정한 세계적 교육 석학입니다

    skydancer.tistory.com